- 주제
삶에 적용하여 삶을 바꾸는 본. 깨. 적. 독서법
- 인상 깊었던 문구
1. 책을 읽다. 삶이 바뀌다.
41. 미국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, 솔로몬 르웬버거 중학교: 수업이 끝난 후 10분 동안 교실에서 조용히 책을 읽는 것-읽기 능력 향상 -성적 최고
55. 전문적으로 책 읽는 방법을 배우면서 내면의 변화는 구체적인 삶의 변화로 나타나기 시작했다.
2. 이것이 삶을 바꾸는 책 읽기다.
70. 저자의 관점에서 보라.
71. 책을 읽고 평가할 수 있다.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때론 저자의 이야기를 비판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. 그러나 어디까지나 저자가 무슨 이야기를 하려고 했는지 제대로 읽고 핵심을 파악한 후의 일이다. 저자가 왜 그런 이야기를 했는지 의도도 파악하지 못하고 비판만 한다면 사고가 확장되기는커녕 고정관념의 뿌리만 깊어진다. -> 깨닫는 것은 철저하게 '나'의 관점에서 깨달아야 한다.
80. 처음부터 끝까지 책을 읽는 힘을 기르지 않고 개관 독서만 하면 책 읽기가 늘지 않는다.
85. 한 달 안에 4번 반복해서 읽으면 내용을 보다 선명하게 기억할 수 있다. 3.3.3.재독법. 책을 읽고 기억에 남는 내용을 3일 동안 3명에게 3분 동안 이야기하는 것.
114. 정보 과부하로 인해 실행을 하지 못하는 불상사를 막기 위해서는 많은 정보를 얻기보다는 적은 양이라도 중요한 정보를 중심으로 여러 번 반복하면서 읽고 배우는 것이 좋다.
3. 실전! 본깨적 책 읽기
128. 책을 잘 읽기 위해 꼭 해야 할 3가지 질문: 나의 연관성. 책의 예상 핵심 키워드. 얻고자 하는 것
139. 우선 목차를 보면서 관심이 가는 내용의 페이지를 찾아 귀 접기를 한다. 본문을 훑으면서 관심 가는 내용이 있는 페이지를 접는다. 귀 접기가 일종의 브레이크 역할을 하는 셈이다.
166. 본 것을 생각하지 않으면 잘 적지 못하는 데 깨달은 것과 적용할 것을 적을 때는 더욱더 깊이 있는 사유가 필요하다.
문학책 198. 저자의 생애 업적 알아보기. 시대적 상황 파악. 플롯
역사 끊임없이 질문하고 재해석, 철학적 생각을 많이 할수록. 꼭꼭 내 생각 돌아보며
4. 북 바인더, 책과 삶을 하나로 묶다.
215. 평생 독서계획표-월간 독서계획-주간 계획-일간 계획
233. 과함은 모자람만 못하다. 본깨적 책 읽기에서만큼은 현실적인 목표가 중요하다. ONE BOOK. ONE MESSAGE. ONE ACTION-21일의 법칙
242. 디지털 미디어 사용시간을 반만 줄여도 인생이 달라진다.
- MOTIVATION
108. 본깨적 책 읽기로는 300권이면 가능하다.
- ROLE-MODEL
147. 본 것은 책 상단에, 깨닫고 적용할 것은 하단에 쓰기
180. 본: SUBJECT, KEYWORD, IMPRESSIVE PHASE
깨: MOTIVATION, ROLE-MODEL, KNOWLEDGE
적: KAIZEN, IDEA, ACTION PLAN
- KNOWLEDGE
77. 필요한 부분만 골라 읽는 것도 당당한 독서법 중의 하나이다.
91. 속독의 열쇠는 빨리 읽는 기술이 아니라 배경지식에 있다.
117. 수평적(사고 확대, 유연), 수직적(깊은 고민, 해답) 병렬 독서
책 속의 책
'책 북적籍북적積 > 사회과학서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정하다는 착각 / 마이클 샌델 / 와이즈베리 (0) | 2022.11.28 |
---|---|
90년생이 온다 / 엄홍택 / 웨일북스 (0) | 2022.11.28 |
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 / 유발 하라리 / 김영사 (1) | 2022.11.28 |
웃음의 가격은 얼마인가 / 율리히 슈나벨 / 새로운 현재 (0) | 2022.11.28 |
아들러의 인간이해 / 알프레드 아들러 / 을유 (0) | 2022.11.27 |